겨울 동해안은 생선 굽는 냄새가 항포구를 가득 채웁니다. <br /> <br />연탄불 위에서 노릇노릇 익어가는 생선구이는 놓치지 말아야 할 별미. <br /> <br />겨울철 동해안 하면 떠오르는 생선, 바로 이 양미리와 도루묵입니다. 매년 차고 넘치게 잡혀 항포구를 활기차게 만들었는데요. 올해는 어떨까요? <br /> <br />바다에 쳐 놓은 그물을 걷어 온 어민. <br /> <br />물고기가 없습니다. <br /> <br />알이 꽉 찬 도루묵을 가득 싣고 올 줄 알았는데, 바다가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영순 / 도루묵잡이 어민 : 물 온도가 너무 따뜻하니까 (도루묵이) 안 난다고 그래요.] <br /> <br />그나마 사정이 좀 나은 어선도 있지만, 만선의 기쁨은 옛말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[도루묵잡이 어민 : 도루묵 조업도 포기하는 배가 많거든요. 원래는 1월 중순까지 (조업) 해야 하는데 경비가 안 나오니까 포기한 배가 여럿 있어요.] <br /> <br />또 다른 겨울 대표 어종 양미리도 마찬가지. <br /> <br />그물마다 빈틈이 없을 정도로 빽빽하게 걸려 올라오던 양미리가 이제 절반도 잡히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어민들은 명태와 오징어가 사라진 것처럼 도루묵과 양미리도 자취를 감출까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[양미리잡이 어민 : 수온이 맞으면 양미리가 형성되는데, 이러다 물이 (더) 뜨거워지면 양미리가 없어지지 않겠나, 명태처럼….] <br /> <br />원인은 해수온 상승, 동해안 어장지도가 급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도까지 잡히는 양이 없어 어획량 집계조차 하지 않던 방어는 지난해 제주 어획량의 7배 가까이 잡혀 어획량 1위로 올라섰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동해안 대표 어종이던 오징어는 어획량이 20년 전과 비교해 무려 95%나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라진 명태와 오징어를 대신해 효자 노릇 하던 도루묵과 양미리도 해마다 어획량이 크게 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선길 /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연구소 박사 : 동해안 수온에 적합하게 또 잘 성장할 수 있는 양식 품종을 개발해서 또 그런 부분도 어업인들에게 기술 이전을 한다든지 그렇게 하는 부분도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수온 변화와 함께 무분별한 남획이 어족자원 고갈로 이어지는 상황. <br /> <br />명태가 사라진 지 20여 년, <br /> <br />동해안을 대표하는 어족자원이 또다시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성욱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홍도영 <br />디자인ㅣ임샛별 <br />자막뉴스ㅣ이 선, 이도형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2309023725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